• Concept
  • Final Photos

성수 WAVE

  • Design phase 2020.10 - 2021.03
  • Construction phase 2021.05 - 2021.12
  • Location Seoul, South Korea
  • Program commercial
  • Status completed
  • Site area 145.00 m2
  • Built area 84.15 m2
  • Total floor area 299.65 m2
  • Number of floors B1, 4floors
  • Structure steel frame structure
  • Architect in charged Won Youmin, Jo Janghee
  • Schematic design Kang Jongsu
  • Drawing development Kim Sooyoun
  • Interior design Kim Sooyoun
  • Technical drawing Kim Sooyoun
  • Supervision Kim Sooyoun
  • Photographer Hwang Hyochel
  • Structure engineering Hangil
  • m.e.p engineering Jungyeon
  • Construction JD건축

서울숲 개장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한 성수동은 기존의 오래된 동네 그 모습들을 재발견하고 유지하는 것에서 가치를 갖는다.

8,90년대 늘어나던 서울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다세대 다가구는 최대한 많은 세대가 살 수 있도록 만들어졌고, 그로 인해 지하부터 반지하, 지상까지 입체적인 구성이 만들어졌다. 

이는 한편으로 보면 조잡스러울 수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가로의 풍경을 지루하지 않게, 다차원적으로 만들어주기도 한다. 이러한 가로풍경과 차 한대가 지나가는 정도의 도로폭이 만들어내는 스케일, 그리고 당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붉은벽돌의 외장은 사람들이 친숙하고 편안하면서도, 흥미롭게 느낄 수 있도록 해 주었고 이것이 성수동의 정체성이 되었다.

이처럼 오래된 이 동네의 모습은 다양한 아이디어와 디자인과 프로그램들이 조금씩 더해지면서 더욱 매력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한쪽에선 지나친 상업화를 우려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고민해야되는 지점은 상업화 그 자체보다는 그 안에서 어떻게 정체성을 유지하며 공존할 것이냐 하는 것이라 보인다.

 

이 프로젝트는 그런 관점에서 시작했다.

오래된 다가구를 상업공간으로 바꾸기 위해 지역과 골목의 정체성을 잘 유지하면서, 동시에 어떻게 이웃한 주거 건물과 불편하지 않게 공존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 방식은 크게 두 가지 이다.

하나는 외장에 관련된 것이고 하나는 창에 관련된 것이다.

상업건물로서 내부에서의 개방감을 만들기 위한 커다란 사이즈의 창과 유리가 필요했다. 하지만 그렇게 됐을 때 이웃해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의 불편함이 생겨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는 이중 외피와 같은 방식으로 내부에서의 유리가 주는 투명함과 개방감은 만들되, 외부와의 시각적 불편함을 걸러줄 수 있는 외피를 한 켜 더 구성하였다. 그리고 그 외피는 옆집과는 시선은 차단해주면서, 하늘을 향해서는 열릴 수 있도록 곡면형태로 만들어서,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했다. 그리고 이 형태는 기능을 충족하면서 전체 건물의 이미지와 차별화를 위한 요소가 되었다.

 

외장을 위한 재료는 자연스럽게 붉은 벽돌을 사용했다. 이는 현재 성수동을 정의하고 있는 재료이기도 하고, 법적으로도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성수동의 건물들이 갖고 있는 스케일을 고려해, 벽돌이라는 하나의 재료를 사용하지만 쌓는 방식과 곡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스케일이 한 개 층을 넘지 않도록 전체 매스를 분절시키고자 하였다.

벽돌을 통해 곡면을 만드는 것은 물리적으로 여러 어려움과 고민이 필요했다.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벽체가 중간중간 분리가 되어, 벽돌의 하중이 기초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 구조체를 통해 공중에서 매달려 있어야 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도 어려운 과제였다.

곡면을 구현하기 위해 벽돌의 시공방식은 건식시공으로 진행했고, 곡면부 처리를 위해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봉을 각도에 따라 모두 확인한 후 현장시공을 진행했다. 그럼에도 현장에서의 오차가 있었고, 완성을 위해서는 현장작업자 분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평면적으로는 상가건물로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계단실을 옮기고 주 사용공간을 곡면벽에 접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이 곡면벽과 이웃해 전체 유리이거나, 테라스나 조경을 설치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 내부 개방감과 활동성을 만들고자 하였다.

 

공사가 끝나고 지금은 모든 층이 하나 둘 채워져 붉은 색의 건물에 또 다른 생기가 만들어졌다.  의도했던 것처럼 건축은 동네의 정체성을 존중하는 방식을 취하고, 그 안에는 동네의 새로운 활기가 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채워져 사람들이 오가는 그런 자세를 갖는 건물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Seongsu-dong, which began to slowly change in the early 2000s with the opening of Seoul Forest, has its values in the rediscovery and maintenance of the old neighborhood.

To accommodate the growing population of Seoul in the 1980s and 1990s, multi-unit, multi-family households were created to fit as many families as possible. As a result, a three-dimensional composition ranging from the basement to the semi-basement but on the other, it makes the horizontal landscape interesting and multi-dimensional. The scale of the streetscape created by the width of roads, just enough for one car to pass, and the red brick exterior commonly used at the time gave people the sense of familiarity, comfort, and excitement. This became the identity of Seongsu-dong. The classic look of the neighborhood is becoming more attractive as various ideas, designs, and programs are added one by one. Although some people are concerned about the over-commercialization of the area, the focus should be placed on how to maintain the neighborhood’s identity and coexist within the commercialization itself.

This project began from such a perspective.

The question is how an old multi-family house can be transformed into a commercial space while keeping the identity of the area and streets while comfortably coexisting with neighboring residential buildings.

There are two main approaches to these challenges: window and exterior. Large windows and glasses were necessary to achieve a sense of openness in the inside as a commercial building. However, such a design would inevitably cause discomfort between the resident and the neighbors. Therefore, a double-skin method was utilized to create a transparent, open interior, while a multi-exterior layer method was used to preserve privacy. Two different functional needs of blocking the view from the neighbors while allowing openness towards the sky were fulfilled using curved forms. Such forms became differentiating factors of the overall image of the building while satisfying its functional needs.

Naturally, red brick was chosen for the exterior because it is a material that defines Seongsu-dong today, and the law enforces its usage. However, considering the scale of buildings in Seongsu-dong, the overall mass of this building was divided so that the visual scale felt through the curved surfaces combined with the brick-only stacking method would not exceed one floor. There were physical challenges and concerns in creating curved surfaces with bricks. Moreover, the task was structurally difficult because the walls were separated throughout the middle, forcing the load of the bricks to be suspended in the air through a separate structure instead of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undation. A dry construction method using bricks was used to create curved surfaces, and round bar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angle through 3D simulation for curvature treatment before the construction proceeded. However, errors occurred in the field despite such precautions, dem complete the construction.

For efficient planar use as a commercial building, the staircase was moved, and the main space was modified to be utilized in contact with the curved walls. All-glass design, terrace, or landscape were implemented adjacent to the curved walls for a sense of openness

 

At present, after the building was completed, all the floors were occupied and gave more vibrance to the red building. A method that respects the neighborhood’s identity was adopted and the building was filled with programs that bring new vitality to the neighborhood where people come and go, as originally intended. 

 

닫기
닫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