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cept
  • Final Photos

용인 상현동 House

  • Design phase 2014.10 - 2015.05
  • Construction phase 2015.06 - 2016.03
  • Location Gyeonggido, South Korea
  • Program private house
  • Status completed
  • Site area 265.4 m2
  • Built area 118.01 m2
  • Total floor area 245.87 m2
  • Number of floors 2floors
  •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Architect in charged Won Youmin, Jo Janghee
  • Schematic design Shin Chaeyeon
  • Drawing development Shin Chaeyeon
  • Interior design Shin Chaeyeon
  • Technical drawing Shin Chaeyeon
  • Supervision Won Youmin
  • Photographer Hwang Hyochel
  • Structure engineering Yigun
  • m.e.p engineering Jungyeon
  • Construction JD건축

남쪽으로 작은 공원을 마주하고 있는, 해가 잘 드는 땅에 집을 짓고 싶어하는 부부가 찾아 오셨다.  꾸밈없는 모습에 잘 웃으시고, 기본적으로 ‘사람’ 을 좋아하시는 두 분이 처음 집에 대해 말씀하신 것은 ‘사람을 만나는 집’ 이었다. 사람을 만난다는 것의 의미는 안으로는 집안의 가족들이 모이고 만나고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 집의 중심이 되는 집이고, 밖으로는 찾아오는 지인들, 놀러오는 동료들 그리고 동네의 주민들을 편하게 만날 수 있는 집이었다. 그래서 우리 전통건축의 대청이나 열린 마당같은 공간을 좋아하셨고 그러한 공간의 성격이 담겨진 집을 짓고 싶어 하셨다. 


따라서 가장 먼저 고민했던 것은 이 가족에게 필요한 공간들이 어떤 곳인지를 상상해 보는 것이었다. 우선은 가족들이 모여 각자 혹은 함께 얘기하고, 책보고, 쉬고, 노는 공간인 가족실이 필요했다.  이 공간은 남쪽으로부터 따뜻한 햇살도 충분히 받아야 하고, 해가 질 때는 노을도 볼 수 있었으면 좋겠고, 집 앞의 작은 공원과 동산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족들 각자의 다양한 행위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벌어질 수 있을 만큼 여유 있는 공간구조였으면 좋겠다. 이렇게 생각했을때 떠올랐던 공간은 병산서원의 만대루나 남원 광한루 같이 편안하고, 또한 정취가 있는 공간인 “누마루” 였다. 따라서 가장 먼저 이러한 “누마루” 같은 공간을 어떻게 재해석해서 어떻게 내부공간에 구성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했고, 결과적으로 이 공간을 중심으로 집의 구성을 풀어가기 시작했다.  


이 가족실 공간은  2층의 중심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 양 옆으로 안방과 아이들 방이 있어서 부모와 아이들은 언제든 이 가족실에서 만나고 헤어질 수 있다. 가족실의 한쪽 벽에는 책이 가득하고 남쪽 창가에는 밴치가 있어 언제든 이 곳에서 낮잠을 즐길 수 있다. 이 가족실의 중앙에는 1층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다. 이 계단은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동선이기도 하지만 가족실 공간을 크고 작고 넓고 좁은 공간으로 나누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고 불필요한 시선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렇게 집 전체의 중심인 계단을 통해 1층으로 내려가면 마당을 마주하고 있는 주방과 다이닝공간이 나온다. 


1층으로 내려와서 가장 중요한 공간은 바로 이 주방과 다이닝, 그리고 작은 거실이다.  이 공간들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마당을 감싸고 있기 때문이다. 다이닝에서 나가면 작은 툇마루가 있어 마당으로 내려갈 수가 있고, 거실에서 문을 열고 나가면 대청마루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대청마루에서는 마당을 한눈에 볼 수가 있다.  전통적인 마당의 구조를 닮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마당의 툇마루나 대청마루에 앉아 있으면 마당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이 한눈에 보이고 집 앞을 지나가는 이웃들과도 인사할 수 있다. 아이들은 마당에서 놀다 동네 친구가 오면 마당 한쪽의 쪽문을 열고 집 앞 공원에 가서 다시 축구를 하며 논다. 이렇듯 열려있는 마당은 적어도 아이들에게 만큼은 진정으로 만남과 놀이와 교류의 공간이 되었다.  


이러한 공간들을 감싸고 있는 집은 전체적으로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외장은 건축주의 성향만큼이나 차분한 색의 벽돌로 만들어졌다. 다만 내부에 만들어진 가족실의 공간형태를 외부에 드러내면서 단순한 형태에 역동적인 사선이 생겨났다. 덕분에 방향에 따라 보이는 모습이 다른 것이 흥미롭다.

‘사람을 만나는 집’ 을 짓고자 하였던 건축주부부와 세 명의 아들들은 우리가 기대했던 것보다 더 많은 사람을 만난다. 아이들 셋은 다락으로, 가족실 구석으로, 거실로, 욕조와 마당으로 몰려다니며 놀고, 집에는 새로 생긴 동네 친구들이 수시로 놀러온다. 건축주부부는 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집에서 보내게 되었고 더 자주 사람들을 집에서 만난다. 


집이 사람을 닮아 가듯이 우리는 건축주를 닮은  집을 짓고 싶었다. 그래서 이 집은 사람을 좋아하는 담백한 집이 되길 바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미쳐 다 담아내지 못한 부족함은 앞으로 건축주분들이 넉넉한 삶의 일상으로 이 집을 채워주실 거라 확신한다. 

 

 

A couple visited the JYA office and shared their wish to build a house on a sunlit ground facing a cozy park in its south. With nice gentle smiles, they naturally displayed modesty and warmth. As to show their affection for people, they dreamed of a house that is ‘open to people’. To them, the house had both ‘internal’ get together neighbors casually come by and chat together. For that reason, they wanted spaces like open lounge or daecheong, a Korea’s traditional main floored room and wish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such open spaces in their new house.

 

As such, our w thought of a family room where people could meet one another, take rest, read books or play together or individually. The room would absorb sufficient sunlight and capture the view of a beautiful sunset as well as that of a little park and a hill in front of the house. Next was the spacious structure of the house that would allow family members to simultaneously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An ideal example of this was numaru, a balcony-like raised veranda that would give an enjoyably nostalgic and serene sentiment. Based on the numaru concept, we reinterpreted its spacial characteristics, captured them into inner space of the new house and started to unravel the rest of spaces.

 

In turn, the family room was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2nd floor, along with a main bedroom and kids’ bedrooms on each side. It would act as a place that connects shelves that fully cover the wall or take a nap on a window bench facing south. At the center of the room, there is a staircase that leads to the 1st floor. The staircase creates a downward flow, divides the family room into big, small, wide and narrow spaces and further blocks any unnecessary gaze. Following the staircase down to the 1st floor, a kitchen and dining room that face a front yard come into sight.

 

The most important spaces on the 1st floor are a kitchen, dining room and a small living room, all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front yard. The dining room leads to a small toenmaru, then to the front yard while a big wide door of the living room is linked to a daecheongmaru, a main floored room that captures the whole sight of the front yard. Such structure resembles that of Korea’s traditional front yard, making it possible to watch kids play in the yard and greet neighbors passing by. Children could play not only in the yard but also in the park right outside the house by simply going out through its side door. As such, this open yard would genuinely act as a place of play and exchange—at least to those joyful children.

 

The house that embraces these spaces is built in a rather simple form. Its exterior is also finished with bricks in subtle color that reflects the modest taste of the client. Nonetheless, an exposed structure of its living room creates a dynamic diagonal line, interestingly adding different images to the house from different angles.

 

The couple and their three sons who dreamed of a house ‘open to people’ encounter and exchange with a far more people than we expected. The three kids are all over the attic, the family room, the living room and the bathroom, and their new friends are welcome to the house anytime. The parents now spend more time in the house and meet more people more often.

 

As a house would ‘resemble’ people who reside in it, we wanted build a house that resembles the client family—a simple modest house that warmly embraces and welcomes people. With sincere hope and no doubt, anything that has not yet been captured in the house will be eventually filled with the family’s fullness and richness of their daily lives.

 


 


닫기
닫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