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cept
  • Final Photos

Low Cost House 2_장흥

  • Design phase 2013.06
  • Construction phase 2013.07 - 2013.09
  • Location Jangheung-gun, Jeonnam, South Korea
  • Program private house
  • Status completed
  • Site area 169.00 m2
  • Built area 95.00 m2
  • Total floor area 95.00 m2
  • Number of floors 1Floor
  • Structure steel frame structure + container
  • Architect in charged Won Youmin, Jo Janghee
  • Schematic design Won Youmin
  • Drawing development Won Youmin, Jo Janghee
  • Interior design Won Youmin, Jo Janghee
  • Technical drawing Won Youmin, Jo Janghee
  • Supervision Won Youmin
  • Photographer Hwang Hyochel
  • m.e.p engineering Jungyeon
  • Construction Team of 라권수

이 집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주거환경이 열악한 저소득층을 위해 주거환경을 개선해주는 프로젝트인 ‘Low Cost House series’ 의 두번째 프로젝트였다. 전남 장흥에 위치한 이 집에는 부모님과 다섯아이, 이렇게 총 일곱가족이 살고 있었다. 집은 한눈에 보기에도 매우 낡아 보였고 구조가 한쪽으로 이미 기울어져 있었다. 거기다 집은 과거 소를 키우던 우사와 붙어 있었고 이 우사에는 소의 배설물들이 아직 그대로 남아 있었다. 그렇다 보니 온 집안에 악취가 가득한것은 물론 파리며 벌레들이 정말 많았다. 하지만 더 심각했던 문제는 바로 ‘쥐’ 였다. 속된말로 집은 이미 쥐에게 점령당한 상태였고 이 집 안에선 사람이 오히려 쥐를 피해서 생활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쥐는 이미 사람을 겁내하지 않았고 어디서 어떻게 들어오는지, 얼마나 많은 수의 쥐들이  이 집에 살고 있는지 조차 알 수 없을 정도였다. 그렇다 보니 화장실이 없어 대문옆에 변기만 달랑 놓고 사용하고 있는 것 정도는 심각하게 인식되지도 않을 정도였다

 

따라서 우리는 집을 새로 짓기로 결정하였다. 우선 현재 집이 고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했고 무엇보다 쥐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집을 새로 짓기로 결정하고 나서 가장 먼저 부딪힌 문제는 바로 공사비였다. 이는 시리즈의 첫번째 프로젝트인 벌교주택과 비교해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 장흥의 주택은 벌교주택에 비해 가족수도 많고 공간도 더 많이 요구되고 게다가 개축이 아닌 신축이다. 하지만 우리가 쓸 수 있는 예산은 거의 비슷했다.

간단히 말해 할 것은 더 많고 돈은 비슷한 그런상황이었다.  

 

따라서 이 프로젝트를 위해 필요한 아이디어는 결국 간단하고 명확해 졌다. 바로 어떻게 적은 예산으로 더 많은 공간을 만들 수 있는냐 하는 것이었다. 

 

그 첫번째 방법으로 우리는 컨테이너 하우스를 선택하였다.  제작기간이 짧고 현장작업을 최소화해서 공사비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컨테이너 세동을 제작했다. 하지만 이 컨테이너 하우스는 단열과 층간소음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세동, 약 50.4 m2 는 일곱명의 가족이 살기에는 매우 부족한 공간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부족한 생활공간과 컨테이너 하우스가 가진 단점, 특히 취약한 단열 을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아이디어가 필요했다. 

 

우리가 선택한 두번째 아이디어는 컨테이너를 두동으로 나누어 그 사이에 두동을 잇는 대청마루 같은 공간을 만들고, 이렇게 구성된 컨테이너집을 겉에서 덮는 또 다른 집을 만들어 “집 속의 집” 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로인해 “속집”인 컨테이너는 세겹의 단열층을 갖게되고 “겉집”과 “속집” 사이에 완전한 내부도 아니고 완전한 외부도 아닌 모호한 공간이 생겨났다. 이 공간은 앞뒤에 설치된 커다란 미닫이 문을 통해 외부의 자연과 이어지고, 또한 열고 닫음에 따라 여름엔 외부, 겨울엔 내부처럼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두 집 사이에 만들어진 이 모호한 공간은 대청마루, 다락공간, 하늘을 향한 투명한 지붕 등을 갖고있어 다섯아이들에게 이 안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공간들을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This was the second “Low Cost House Series” project, sponsored by Korea Child Fund to improve a living environment for low-income families.The house was situated in a small rural village of Jangheung town in southeastern province of Korean peninsula and was a home for a family of parents and five children. It was a very old and shabby building tilted to a side and stood right next to an unused cow house filled with the remains of cow waste attracting all sorts of flies and bugs. The surroundings were filthy, and the smell was appalling. However, the worst part of the house was ‘rats’, which literally occupied the whole building. It was the family who had to avoid the rats and find their own spaces. The rats were unafraid of men, and their exact numbers were never to be known. As such, an open outside toilet without walls was the least problem to the family. To them, this horrible living situation was somewhat regarded as something they had to live by.

 

 

After examining the whole house, we decided to knock it down and rebuild it. It was clearly not in a condition to be renovated, and above all, it seemed like the only way to escape from the rats. However, the first problem we encountered was a tight budget. Compared to our first low-cost house project in Beolkyo, the number of family as well as the required space were larger this time. Although the budget for both projects was similar, this was a new construction work unlike the Beolkyo’s renovation one.

 

The huge budget issue naturally led us to find ideas to save the costs while creating a larger space. A room to cut costs was finally found in building materials. What we chose was ‘container houses’ which could minimize both field works and construction time. But their poor insulation and floor noise, vertically in particular, created other problems we had to tackle. As our building was to be built as a single floor, the only concerns remained were to improve insulation three containers of merely 50.4 m2. 

 

 

 Our next solutions were first to separate two container houses to create a space in between as an open deck and secondly to surround the whole space with another ‘house’ to create a ‘house in the house’.  As a result, three insulation layers were formed inside the building, and new ‘undefined’ spaces were created between the ‘inside’ house and the ‘outside’ house. These extra spaces were also connected to the nature through large sliding doors as outdoor space in summer when open and as indoor one in winter when closed. Moreover, they could also provide an open floor, an attic and a transparent roof open to the sky for the family’s five children to have dynamic and diverse ‘space’ experiences.

 

닫기
닫기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