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cept

울릉도 집합주거

  • Design phase 2012.02 - 2012.08
  • Location Ulleungdo, South Korea
  • Program Social Housing
  • Status proposal
  • Site area 1,667.00 m2
  • Built area 468.16 m2
  • Total floor area 862.76 m2
  • Number of floors 4floors
  •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light weight wood frame system
  • Architect in charged Won Youmin, Jo Janghee
  • Schematic design Won Youmin, Jo Janghee
  • Drawing development Won Youmin, Jo Janghee
  • 3D Visualization JYA-RCHITECTS

독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독도와 울릉도를 방문하려는 관광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2011년 기준으로 인구 약 1만명의 울릉도를 찾은 관광객이 그 35배인 무려 35만명이나 된다. 그리고 이렇게 몰려오는 관광객 덕분에 울릉도의 경제는 어느 때보다 활성화 되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이 늘어나는 관광객들 때문에 살고 있던 집에서 쫓겨나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숙박시설이 부족해 졌고 그로 인해 민박이 활성화 되었다.

성수기 기준 하룻밤에 5만원에서 10만원을 하는 민박가격은 집주인에게 한달 월세 2,30만원을 받는 것보다 훨씬 더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집주인들은 세입자들을 내보내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오랫동안 월세를 살아오던 저소득층들이 하나,둘 살던 집에서 쫓겨나게 된 것이다.

 

주택보급율이 78%에 불과한 울릉도에서 이렇게 쫓겨난 사람들이 살 집을 구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고 그런 이유로 우리는 이 사람들의 주거문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었다.

그렇게 해서 우리는 울릉군과 함께 그들을 위한 social housing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울릉도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가구를 위한 이 social housing 프로젝트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그것들의 협업에 대한 것이었다

그 시작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집합주거를 목적으로 하였으되, 그 실행은 사회구조시스템에서 지배적 위치에 있는 대기업의 자금후원에 의해 높은 수준의 공사비로 지어질 예정이었다.

 

또한 프로젝트는 매우 보편적인 시스템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는 좀 더 폭넓은 범위의 다양한 조건과 상황에 보급 가능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 프로젝트는 트럭에 실려 이동될 수 있는 기본모듈을 시작으로 하였다.

이는 울릉도 이외의 다른 지역에 있는 다수의 잠재적 대상자를 위해서이다.

또한 그 구축은 관련기능을 갖지 않은 일반인의 참여에 의해 가능해야 한다. 이것은 이 프로젝트가 해비타트와 대기업의 홍보라는 두 가지 커다란 요구사항들을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이 프로젝트는 매우 특별한 여러 조건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 중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건 입주대상자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개인주택이 아닌 집합주거에서 특수한 조건과 사연을 가지고 있는 입주대상자들이 정해져 있다는 것은 무엇보다 계획에서부터 구축까지의 건축과정 중에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진행이 가능한 조건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무엇보다 집합주거라는 건축영역에서 집이라는 물리적 조건과 주거민이라는 사용주체 사이에 발생하는 많은 괴리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구조나 재료의 측면에서 보면 또 다른 다양한 요구들의 집합이다

해비타트의 봉사자가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주요 구조방식은 목구조 방식으로 결정되었다. 물론 여기엔 울릉도라는 특수하게 공사비가 높은 지역성을 반영해 현장공사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여기에 외장의 강판자재를 후원하는 기업의 요구, 가장 큰 사업비를 후원하는 기업의 요구가 반영된 색의 조합,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한 대지형태를 반영한 테라스 하우스. 이처럼 최종 결과물은 프로젝트를 둘러싼 다양한 사업구성요소들의 요구와 그의 조합이다.

 

결론적으로 보자면 우리사회에 지금까지 그 인식이 낯설었던social housing 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식하고 정착시키기 위해선 이렇듯 다양한 요인들이 눈에 보이게, 혹은 보이지 않게 얽혀서 작동해야지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그 결과가 어떤 모양으로 완성되고 작동하는지를 지켜보고자 하였다. 우리사회의 다양한 구성주체들이, 그 차이들이 모여 긍정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면 이는 양극화 되어가는 우리사회에서, 최소한, 건축적 역할이 유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단서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닫기
닫기
검색 닫기